이것은 근본(根本) 정법(正法)은
수현
0
1207
2020.10.11 17:42
#38
법이삼세 불가인과중계
法離三世라 不可因果中契니라
※법은 삼세를 떠나 있는지라 인과가운데서 계합하려 함은 옳지 못하다.
※해의(解義) ※
이것은 근본(根本) 정법(正法)은 인과(因果)를 떠나 있음을 밝힌 것이다. 법(法)은 곧 근본(根本) 진심(眞心)을 뜻하고 삼세(三世)는 곧 중생(衆生)이 지음없는 지혜(智慧) 가운데 자기 마음을 스스로 속여 허망된 헤아림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허망으로는 마침내 진심에 계합치 못할 것은 뻔한 일이 아니겠는가?
#39
수허회자조 신일념연기 - 무생
須虛懷自照하야 信一念緣起 - 無生이어다
연 무명력대고 후후장양
然이나 無明力大枯로 後後長養 하야
보임불망 위난
保任不忘이 爲難하니라
※모림지기 마음을 비우고 스스로를 비춰보아 한생각 반연으로 일어남이 오로지 생겨나는 자취가 없음을 믿어야 한다. 그러나 무명의 힘이 워낙 커서 먼 뒷날에까지 잘 길러 보임해 잊지 않기가 참으로 어려운 것이다.
※ 해의(解義) ※
이 대목은 인과의 법칙이 분명한 뜻을 밝힌 것이다. 연기(緣起)의 무생(無生)은 돈(頓)으로서 인(因)에 해당하고 장양(長養)하여 보임(保任)함은 점(漸)으로서 과(果)에 해당한다.
#40
혹본무종 미진홀기
惑본無從이나 迷眞忽起하니라
※미혹이 본래 자취가 없지만 참됨을 미하여 문득 일어나는 것이다.
※ 해의(解義) ※
이 말씀은 미혹을 이르키는 인(因)을 밝힘이니, 노끈을 뱀으로 보는 것이나 나무무더기를 귀신(鬼神)으로 속는 것이 모두 자성이 스스로 공적(空寂)하기 때문이다.
#41
약조혹무본칙 - 공화삼계 여풍건연
若照惑無本則 - 空花三界가 如風捲煙이요
환화육진 여탕소빙
幻化六塵이 如湯消氷하리라
※만일 미혹의 근본이 본래없음을 비춰 살피면 헛꽃과 같은 삼계가 바람이 연기날리듯, 그림자같은 육진을 더운물이 얼음녹이듯 하리라.
※ 해의(解義) ※
이 글귀는 미혹의 인연을 비춰 살핌을 밝힘이니 가죽도 오히려 존재하지 않거늘 털이 어디 붙을 자리가 있으랴.
법이삼세 불가인과중계
法離三世라 不可因果中契니라
※법은 삼세를 떠나 있는지라 인과가운데서 계합하려 함은 옳지 못하다.
※해의(解義) ※
이것은 근본(根本) 정법(正法)은 인과(因果)를 떠나 있음을 밝힌 것이다. 법(法)은 곧 근본(根本) 진심(眞心)을 뜻하고 삼세(三世)는 곧 중생(衆生)이 지음없는 지혜(智慧) 가운데 자기 마음을 스스로 속여 허망된 헤아림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허망으로는 마침내 진심에 계합치 못할 것은 뻔한 일이 아니겠는가?
#39
수허회자조 신일념연기 - 무생
須虛懷自照하야 信一念緣起 - 無生이어다
연 무명력대고 후후장양
然이나 無明力大枯로 後後長養 하야
보임불망 위난
保任不忘이 爲難하니라
※모림지기 마음을 비우고 스스로를 비춰보아 한생각 반연으로 일어남이 오로지 생겨나는 자취가 없음을 믿어야 한다. 그러나 무명의 힘이 워낙 커서 먼 뒷날에까지 잘 길러 보임해 잊지 않기가 참으로 어려운 것이다.
※ 해의(解義) ※
이 대목은 인과의 법칙이 분명한 뜻을 밝힌 것이다. 연기(緣起)의 무생(無生)은 돈(頓)으로서 인(因)에 해당하고 장양(長養)하여 보임(保任)함은 점(漸)으로서 과(果)에 해당한다.
#40
혹본무종 미진홀기
惑본無從이나 迷眞忽起하니라
※미혹이 본래 자취가 없지만 참됨을 미하여 문득 일어나는 것이다.
※ 해의(解義) ※
이 말씀은 미혹을 이르키는 인(因)을 밝힘이니, 노끈을 뱀으로 보는 것이나 나무무더기를 귀신(鬼神)으로 속는 것이 모두 자성이 스스로 공적(空寂)하기 때문이다.
#41
약조혹무본칙 - 공화삼계 여풍건연
若照惑無本則 - 空花三界가 如風捲煙이요
환화육진 여탕소빙
幻化六塵이 如湯消氷하리라
※만일 미혹의 근본이 본래없음을 비춰 살피면 헛꽃과 같은 삼계가 바람이 연기날리듯, 그림자같은 육진을 더운물이 얼음녹이듯 하리라.
※ 해의(解義) ※
이 글귀는 미혹의 인연을 비춰 살핌을 밝힘이니 가죽도 오히려 존재하지 않거늘 털이 어디 붙을 자리가 있으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