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기(附記)
구경사
0
172
04.23 08:34
<부기(附記)>
승랑(僧朗)의 전기에 관계된 참고 자료의 원문 인용도 일일이 적기(摘記)할까 하였으나 철학(哲學)적인 사상(思想)에 중점을 두워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하였다.
노납(老衲)의 생각
<학국불교(韓國佛敎)는> 처음발한 신심(信心)이 바로 정각(正覺)이어늘 어찌 수증(修證)을 가(假)하여 대도(大道)를 통달(通達)하리요, 시방(十方)의 허공(虛空)이 대원경(大圓鏡)이라. 마식(磨拭)을 가(加)하지 않고 고금(古今)을
비추도다.
초발신심변정각(初發信心便正覺)
기가수증통대도(豈假修證通大道)
시방허공대원경(十方虛空大圓鏡)
불가마식조고금(不可磨拭照古今)
승랑(僧朗)의 삼론철학(三論哲學)은 최초(最初) 한국불교(韓國佛敎)의 철학사상(哲學思想)이며 오늘에도 결실(結實)하는 한국불교(韓國佛敎)의 보리대도(菩提大道)가 되는 것이다.그 러므로 한국불교(韓國佛敎)의 철학사상(哲學思想)은 시방(十方)의 대원경(大圓鏡)이요 고금(古今)의 보리도(菩提道)라 하리라.
승랑(僧朗)의 전기에 관계된 참고 자료의 원문 인용도 일일이 적기(摘記)할까 하였으나 철학(哲學)적인 사상(思想)에 중점을 두워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하였다.
노납(老衲)의 생각
<학국불교(韓國佛敎)는> 처음발한 신심(信心)이 바로 정각(正覺)이어늘 어찌 수증(修證)을 가(假)하여 대도(大道)를 통달(通達)하리요, 시방(十方)의 허공(虛空)이 대원경(大圓鏡)이라. 마식(磨拭)을 가(加)하지 않고 고금(古今)을
비추도다.
초발신심변정각(初發信心便正覺)
기가수증통대도(豈假修證通大道)
시방허공대원경(十方虛空大圓鏡)
불가마식조고금(不可磨拭照古今)
승랑(僧朗)의 삼론철학(三論哲學)은 최초(最初) 한국불교(韓國佛敎)의 철학사상(哲學思想)이며 오늘에도 결실(結實)하는 한국불교(韓國佛敎)의 보리대도(菩提大道)가 되는 것이다.그 러므로 한국불교(韓國佛敎)의 철학사상(哲學思想)은 시방(十方)의 대원경(大圓鏡)이요 고금(古今)의 보리도(菩提道)라 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