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량심(四無量心)
구경사
0
333
2023.12.11 07:47
사무량심(四無量心)
사무량심(四無量心)이란 자(慈), 비(悲), 희(喜), 사(捨)를 말하는 것으로 이것은 타인을 대할 때 그 마음을 어떻게 갖느냐 또는 어떻게 쓰느냐 하는 마음가짐과 마음 씀씀이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우리가 남을 대할 때는 표면적으로 나타난 행동(行動)보다는 그 마음이 더욱 중요한 것임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제 그 내용을 알아 보기로 하자.
1. 자무량신(慈無量心) : 우리 중생(衆生)은 각자(各者)나 타인(他人)을 대함에 원수처럼 대하기도 하고 또 성낸 얼굴로, 싫어하는 모습으로 대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은 모두 남에게 고통을 주는 것으로 불자(佛子)가 하여야 할 일은 결코 못 된다. 우리가 진정한 불자(佛子)라면 반드시 이것을 떠나 만인(萬人)을 평등(平等)하게 사랑하여(자 = 慈) 즐거움을 주도록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을 곧 자무량심(慈無量心)이라 하는 것이다.
2. 비무량심(悲無量心) : 중생(衆生)을 교화(敎化)한다는 말은 곧 모든 고통(苦痛)을 떠나도록 한다는 말과 같다. 그러므로 우리는 모든 이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은 물론이러니와 그 고통받는 것을 슬퍼하여 (비 = 悲) 그의 고통을 덜어주도록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을 곧 비무량심(悲無量心)이라고 한다. 후세(後世) 자비(慈悲)를 발고여락(拔苦與樂)이라 함이 바로 이것이다.
3. 희무량심(喜無量心) : 위의 자(慈)와 비(悲)로써 모든 중생(衆生)을 아니, 하나의 중생(衆生)이라도 고(苦)를 여의고 락(樂)을 었었다면 어찌 기쁘지 않겠는가. 이것을 기뻐하는 희(喜) 이것이 곧 희무량심(喜無量心)인 것이다
4. 사무량심(捨無量心) : 이것은 궁극적으로 모든 중생(衆生)을 평등(平等)하게 보아(사 = 捨) 아무런 원친(怨親)도 없게 하는 것이다. 흔히 부처님께선 중생(衆生)을 사랑하시길 모두 갓난 아기(적자 = 赤子)와 같이 하신다고 하니 곧 이런 무량평등심(無量平等心)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볼 때 이 사무량심(四無量心)은 어디까지나 남을 교화(敎化)하기 위한 용심(用心)의 도(道)이다. 그렇다고 하여 이것이 이타(利他)의 면만이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타행(利他)의 행(行)은 반드시 자신(自身)에게도 그에 상응하는 이익(利益)을 가져오기 마련이다. 경(經)에는 사무량심(四無量心)에 대해 다음과 같이 쓰여 있다. <아난(阿難)아 나는 본래 너를 위하여 사무량심(四無量心)을 설하였다. 비구(比丘)는 심(心)과 자(慈)를 같이 하여 일방(一方)에 변만(遍滿)시켜 성취(成就)케 하며 이와 같이 이(二) 삼(三) 사방(四方) 사잡상하(四雜上下) 일체(一切)에 널리 두루케 한다. 심(心)과 자(慈)와 함께 하여 결(結 = 번뇌(煩惱)도 없고 원한도 성냄도 다툼도 없게 함도 없이 넗고 크고 무량하게 잘 닦아 일체 (一切) 세간(世間)에 두루 가득차게 하라. 이와 같이 비(悲)와 희(喜)와 사(捨)와도 같이 하여. . . . 일체(一切) 세간(世間)에 두루 가득차게 성취(成就)하라. 아난(阿難)아, 이 사무량심(四無量心)은 네가 마땅히 년소(年少)한 비구(比丘)들을 위하여 설하고 가르칠지니라. 만약 모든 연소(年少)한 비구(比丘)들을 위하여 가르치면 그는 문득 안온을 얻고 힘을 얻으며 락(樂)을 얻어서 신심(身心)이 흐트러 지지 않고 종신(終身)토록 범행(梵行)을 지키리라.(중아함경 권 21) 우리가 진정한 불자(佛子)면 부처님의 뜻을 받든다면 이 모든 중생(衆生)이 다하는 날까지 이런 마음을 써 남을 교화(敎化)하되 자신도 이에 따른 이익(利益)을 가져 종신토록 범행(梵行)을 여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임은 당연하다.
사무량심(四無量心)이란 자(慈), 비(悲), 희(喜), 사(捨)를 말하는 것으로 이것은 타인을 대할 때 그 마음을 어떻게 갖느냐 또는 어떻게 쓰느냐 하는 마음가짐과 마음 씀씀이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우리가 남을 대할 때는 표면적으로 나타난 행동(行動)보다는 그 마음이 더욱 중요한 것임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제 그 내용을 알아 보기로 하자.
1. 자무량신(慈無量心) : 우리 중생(衆生)은 각자(各者)나 타인(他人)을 대함에 원수처럼 대하기도 하고 또 성낸 얼굴로, 싫어하는 모습으로 대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은 모두 남에게 고통을 주는 것으로 불자(佛子)가 하여야 할 일은 결코 못 된다. 우리가 진정한 불자(佛子)라면 반드시 이것을 떠나 만인(萬人)을 평등(平等)하게 사랑하여(자 = 慈) 즐거움을 주도록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을 곧 자무량심(慈無量心)이라 하는 것이다.
2. 비무량심(悲無量心) : 중생(衆生)을 교화(敎化)한다는 말은 곧 모든 고통(苦痛)을 떠나도록 한다는 말과 같다. 그러므로 우리는 모든 이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은 물론이러니와 그 고통받는 것을 슬퍼하여 (비 = 悲) 그의 고통을 덜어주도록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을 곧 비무량심(悲無量心)이라고 한다. 후세(後世) 자비(慈悲)를 발고여락(拔苦與樂)이라 함이 바로 이것이다.
3. 희무량심(喜無量心) : 위의 자(慈)와 비(悲)로써 모든 중생(衆生)을 아니, 하나의 중생(衆生)이라도 고(苦)를 여의고 락(樂)을 었었다면 어찌 기쁘지 않겠는가. 이것을 기뻐하는 희(喜) 이것이 곧 희무량심(喜無量心)인 것이다
4. 사무량심(捨無量心) : 이것은 궁극적으로 모든 중생(衆生)을 평등(平等)하게 보아(사 = 捨) 아무런 원친(怨親)도 없게 하는 것이다. 흔히 부처님께선 중생(衆生)을 사랑하시길 모두 갓난 아기(적자 = 赤子)와 같이 하신다고 하니 곧 이런 무량평등심(無量平等心)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볼 때 이 사무량심(四無量心)은 어디까지나 남을 교화(敎化)하기 위한 용심(用心)의 도(道)이다. 그렇다고 하여 이것이 이타(利他)의 면만이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타행(利他)의 행(行)은 반드시 자신(自身)에게도 그에 상응하는 이익(利益)을 가져오기 마련이다. 경(經)에는 사무량심(四無量心)에 대해 다음과 같이 쓰여 있다. <아난(阿難)아 나는 본래 너를 위하여 사무량심(四無量心)을 설하였다. 비구(比丘)는 심(心)과 자(慈)를 같이 하여 일방(一方)에 변만(遍滿)시켜 성취(成就)케 하며 이와 같이 이(二) 삼(三) 사방(四方) 사잡상하(四雜上下) 일체(一切)에 널리 두루케 한다. 심(心)과 자(慈)와 함께 하여 결(結 = 번뇌(煩惱)도 없고 원한도 성냄도 다툼도 없게 함도 없이 넗고 크고 무량하게 잘 닦아 일체 (一切) 세간(世間)에 두루 가득차게 하라. 이와 같이 비(悲)와 희(喜)와 사(捨)와도 같이 하여. . . . 일체(一切) 세간(世間)에 두루 가득차게 성취(成就)하라. 아난(阿難)아, 이 사무량심(四無量心)은 네가 마땅히 년소(年少)한 비구(比丘)들을 위하여 설하고 가르칠지니라. 만약 모든 연소(年少)한 비구(比丘)들을 위하여 가르치면 그는 문득 안온을 얻고 힘을 얻으며 락(樂)을 얻어서 신심(身心)이 흐트러 지지 않고 종신(終身)토록 범행(梵行)을 지키리라.(중아함경 권 21) 우리가 진정한 불자(佛子)면 부처님의 뜻을 받든다면 이 모든 중생(衆生)이 다하는 날까지 이런 마음을 써 남을 교화(敎化)하되 자신도 이에 따른 이익(利益)을 가져 종신토록 범행(梵行)을 여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임은 당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