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사정근(四正勤)

구경사 0 652
二.사정근(四正勤)
사정근(四正勤) 사의단(四意斷), 혹은 사정승(四正勝)이라고도 하는데 악(惡)을 막아 선(善)을 증장시키기 위한 네가지의 정진(精進)을 말하는 것이다.
1. 율의정근(律儀正勤 = 율의단(律儀斷) : 아직 생기지 않은 악(惡)은 미리 방지하려고 부지런히 정진(精進)함.
2. 단정근(斷正勤 = 단단 = 斷斷) : 이미 생긴 악(惡)은 없애려고 부지런히 정진(精進)함.
3. 수호정근(隨護正勤 = 수호단(隨護斷) : 아직 생기지 않은 선(善)은 생기도록 부지런히 정진(精進)함.
4  수정근(修正勤 = 수단(修斷) : 이미 생긴 선(善)은 잘 길러내어 더욱 증장하도록 부지런히 정진(精進)함. 이상이 사정근(四正勤)인데 우리가 앞의 사념처관(四念處觀)에서 범부(凡夫)의 망견(妄見) 망집(妄執)을 여의고 사물에 대한 바른 견해를 가지게 되면 다음은 더 이상의 악업(惡業)은 짓지  말고 대신 선업(善業)을 닦아 나가도록 어떻게 하든지 참고 부지런히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이것이 사정근(四正勤)이다.
三. 사신족(四神足)
사신족(四神足)은 사여의족(四如意足)이라고도 하는데 신족(神足)이니 여의족(如意足)이니 하는 말은 뜻대로 만족하게 된다는 말이다. 그럼 무엇이 뜻대로 만족하게 된다는 것인가.
1. 욕신족(欲神足 = 욕여의족(欲如意足) : 위의 사념처(四念處) 사정근(四正勤)을 닦은 힘에 의하여 구도(求道)의 욕구(欲求)가 강렬하여저 공부하고 싶은 대로 됨,
2. 정진신족(精進神足 = 정진여의족(精進如意足) : 정진(精進)하여 나아가는 힘이 저절로 강열해져 물려감이 없이 계속 나아감,
3. 념신족(念神足 = 염여의족(念如意足) : 바른 생각이 한결같이 계속되어 나아감,
4. 사유신족(思惟神足 = 사유여의족(思惟如意足) : 사유(思惟)는 곧 선정(禪定)을 말함이니 선정(禪定)이 마음대로 잘  진행되어 감, 이상이 사신족(四神足)인 바 이것은 사정근(四正勤)에 의해 닦은 힘으로 억지로 하지 않아도 스스로 공부가 여의(如意)하게 잘 되어 나아가는 과정을 말한 것이라 하겠다.
0 Comments
제목

최근글


새댓글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